HEALTH

셀렌톡 효능 및 성분, 먹는법, 부작용, 내돈내산 후기 [데이베리어 셀렌톡]

MLUPE 2025. 4. 7. 17:59

셀렌톡이란?

 

셀렌톡 효능 성분 먹는법 부작용 내돈내산 후기

 

셀렌톡(SELENTOX)은 더 가볍고 건강한 내일을 위한 건강식품 브랜드 데이베리어(DAY BARRIER)에서 건강을 위해서 출시한 항산화 영양제로, 흡연자를 비롯해서 면역력 증진, 활력이 필요한 사람 등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데이베리어 셀렌톡의 효능부터 성분, 먹는법, 부작용 그리고 내돈내산 후기까지 모두 정리하였습니다.

 

셀렌톡 효능 및 성분

 

데이베리어 셀렌톡은 맑은 건강을 위한 5중 기능성 원료로 유해산소로부터 세포 보호를 위한 셀레늄&구리, 정상적인 면역 기능을 위한 아연이 주성분으로 배합된 식약처 인정 건강기능식품입니다.

 

1) 셀레늄 110ug (200%)

셀레늄은 체내의 여러가지 작용에 필수적인 미량 미네랄로 항산화 작용을 하는 대표적인 성분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합니다.

 

2) 아연 17mg (200%)

아연은 생체 내 효소의 구성요소로 핵산과 아미노산 대사에 관여하며 정상적인 세포분열에 필수적인 요소로, 다음과 같은 기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정상적인 면역기능에 필요합니다.
정상적인 세포분열에 필요합니다.

반응형

 

3) 구리 1.6mg (200%)

구리는 체내에서 효소반으으이 촉매로 이용되며,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리는 다음과 같은 기능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철의 운반 및 이용에 필요합니다.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합니다.

 

셀렌톡에는 여기에 6가지 프리미엄 부원료로 HAT혼합분말, 현미호분추출분말, 삼백초추출분말, 도라지추출분말, 대나무수액추출분말, 프로폴리스추출분말이 함유되어 있으며, 정제 과정에서 합성향료, 착색료와 같은 첨가물은 사용하지 않았습니다.

 

셀렌톡 먹는법

데이베리어 셀렌톡은 목넘김이 편한 0.5cm의 작은 사이즈의 정제로, 1일 1회, 1회 1정(500mg)을 충분한 양의 물과 함께 섭취하시면 됩니다.

 

셀렌톡 부작용

데이베리어 셀렌톡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기능성 및 안정성을 인정받은 건강기능식품이기에, 일반적으로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습니다. 다만, 섭취 시 주의사항을 확인 후 섭취하시길 바랍니다.

 

[섭취 시 주의사항]

- 이상사례 발생 시 섭취를 중단하고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 특이체질 및 알레르기 체질이신 분은 성분을 확인 후 섭취하시기 바랍니다.
- 질환 보유자 또는 약물 복용 중이신 분은 섭취 전에 의사, 약사 등 전문가와 상담하십시오.

 

셀렌톡 내돈내산 후기

데이베리어 공식 홈페이지의 셀렌톡 실제 구매 고객의 후기 중 일부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담배 애용가가 된지 약40년 정도 입니다
건강에 안좋아 걱정만하다가 먹어보니
심리적으로 안정이 되어서 그런지 숨도덜차고
꼭집어서 이야기하기 보다는 전반적으로
저한테는 맞는거 같읍니다"
"흡연자라 셀렌늄 찾다가 접하게 되었는데요.
흡연뒤에 비염처럼 코가약간 늘 답답했는데 이거 먹고 엄청 좋아졌다기보다는 덜해진건 확실합니다. 안먹으면 불안해지는 ㅠㅠ 벌써 2통째에요~~! 그리고 셀레늄자체가 비타민C와 같이먹으면 흡수율이 떨어진다고해서 4시간 텀을 주고 먹습니다 저는"
"요즘 날씨가 오락가락 해서 조금만 방심하면 목감기에 코감기에..
기관지염을 달고 사는거 같아서 약만 먹고있었는데
영양제로도 관리 할 수 있다길래 한 번 사봤는데 효과 있는듯 합니다!
저처럼 기관지 안좋으신 분들은 추천드려요ㅎㅎ"

 

 

 

버닝올로지 디데이 내돈내산 후기 및 효과, 성분, 섭취방법, 부작용 - 빨간포 다이어트

버닝올로지 디데이란? 버닝올로지 디데이(BURNINGOLOGY D-DAY)는 빨간통, 파란통 등 다양한 다이어트 보조 식품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는 헬스케어 브랜드 푸드올로지(FOODOLOGY)에서 출

movielupe.tistory.com

 

반응형